오늘의 간추린 뉴스

(22/09/06) 간추린 뉴스

초보 재테크 2022. 9. 6. 16:03
반응형


2022년 9월 6일 화요일, 간추린 뉴스입니다.

■ 태풍 '힌남노'가 오늘 새벽 경남 거제 부근에 상륙했습니다. 태풍은 부산 등 경남 해안을 거쳐 오전 8시쯤 동해로 빠져나갈 것으로 보입니다.

■ 제주 등에는 순간 초속 40m가 넘는 돌풍이 기록됐습니다. 태풍이 남해안을 지날 때 최대 초속 60m의 강풍이 불고, 최고 200㎜ 이상의 폭우가 전망됩니다.

■ 제주도에는 만여 가구가 정전 피해를 입었고, 해안도로 곳곳이 통제됐습니다. 산사태와 침수 우려로 경남과 부산, 전남에선 2천여 명이 대피했습니다.

■ 제주공항 항공편 이착륙이 전면 중단되는 등 국내선 여객기가 무더기로 결항됐습니다. 남해안과 제주를 오가는 여객선 운항도 통제됐고, 열차 3백여 편 운행이 중단됐습니다.

■ 수도권에 호우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서울 잠수교는 보행자와 차량 통행이 전면 통제됐습니다. 올림픽대로와 동부간선도로 등 주요 간선도로 곳곳도 통제됐습니다.

■ 제주와 부산·울산·경남지역 모든 학교가 오늘 휴업하거나 원격수업으로 전환됩니다. 어제 모든 학교들이 휴업하거나 원격수업을 진행한 제주도는 오늘도 대부분 학교가 원격수업을 진행합니다.

■ 서울은 태풍 힌남노로 인해 유치원 780여 곳과 초등학교 600여 곳의 등교 수업을 중단하고 중학교들은 휴업과 원격수업 중 한 가지를 학교가 선택하도록 했고, 고등학교는 등교 여부를 학교장의 재량으로 결정하도록 했습니다.

■ 강풍을 동반한 초강력 태풍 힌남노로 인해 열차편도 무더기 운행 취소가 결정됐습니다. 경부선과 호남선 등에서 오늘 첫차부터 오후 3시까지 남쪽 구간 열차편이 멈추는데요. 한국철도공사는 안전을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.

■ 국민의힘은 추석 전 새 비대위를 꾸리기 위한 당헌 개정 절차를 마무리했습니다. 개정된 당헌을 보면, 당원권 정지 중인 이준석 전 대표의 복귀 가능성을 차단하는 내용도 들어있습니다. 새 비대위는 모레 공식 출범할 계획입니다.

■ 러시아가 가장 중요한 유럽행 가스관을 통한 가스 공급을 중단하면서, 유럽 가스 가격의 기준이 되는 네덜란드 에너지 선물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33% 오른 284유로까지 급등했는데요. 유로화 환율도 유로당 0.9876달러까지 하락해 2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.

■ 어제 낮 12시 52분, 중국 쓰촨성 간쯔장족자치주 루딩현에서 규모 6.8의 강진이, 4분 뒤에는 야안시 스몐현에서도 규모 4.2의 지진이 발생했는데요. 지금까지 최소 46명이 숨졌고, 16명이 연락 두절됐으며 50명이 다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

■ 석유수출국기구 OPEC과 러시아 등 기타 산유국들로 구성된 OPEC+가 다음 달부터 원유 생산량을 하루 10만 배럴 줄이기로 결정했습니다. 경기 침체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입니다. OPEC+는 앞서 지난달 회의에서 생산량을 하루 10만 배럴 늘리기로 결정했는데, 한 달 만에 다시 8월 수준으로 되돌린 겁니다.

■ 이달 말부터 수도권에서 승객이 몰리는 일부 광역버스 노선은 종점이 아닌 중간 정류소에 빈 버스를 배차해 승객을 태운다는 소식입니다. 버스 종점부터 많은 승객이 탑승해 중간에 타는 시민이 아예 버스를 못 타거나 콩나물 버스에 입석으로 타는 경우를 막기 위해서라고 합니다.

■ 정부가 전기차 폐배터리를 순환자원으로 인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환경부 장관은 폐기물 중에서 건강과 환경에 무해하고 경제성 있는 것을 순환자원으로 지정하는데요. 2030년까지 총 42만개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전기차 폐배터리가 앞으로 폐기물이 아닌 순환자원으로 관리되는 겁니다.

■ 서울시가 광역 지자체 최초로 반지하 주택 등에 거주하는 주거 취약계층 청년에 최대 40만원의 이사비를 지원합니다.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의 93.4%가 전월세 임차 가구로 그중에서도 반지하 주택과 옥탑방, 고시원에 사는 우선 지원 대상 청년 가구가 37.7%입니다. 오늘부터 26일까지 3주간 온라인으로 신청을 받아 지원 대상 약 5천명을 선정합니다.

■ 코로나19 재유행이 길어지면서 올겨울 독감 유행이 예년보다 한 달 가량 이른 10~11월에 시작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. 올겨울 독감과 코로나가 동시에 기승을 부리는 '트윈데믹'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. 인후통이 심한 코로나와 달리 독감은 갑작스러운 고열과 근육통 증상을 동반한다고 합니다.

반응형

'오늘의 간추린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(22/09/16) 간추린 뉴스  (0) 2022.09.16
(22/09/15) 간추린 뉴스  (0) 2022.09.15
(22/09/14) 간추린 뉴스  (0) 2022.09.14
(22/09/08) 간추린 뉴스  (0) 2022.09.08
(22/09/07) 간추린 뉴스  (0) 2022.09.07